1984년
조지 오웰 지음, 김병익 옮김/문예출판사


덧없는 꿈이었다네,
4월의 꽃잎처럼 스러져 버렸다네,
눈짓으로 말과 꿈으로 흔들어 놓고
내 마음 앗아가 버렸다네.



1984년. 그러나 이 정확한 숫자는 윈스턴이 생각해 온 것이다. 명확히 몇 년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윈스턴 스미스. 진리성 기록국에서 과거를 조작하는 일을 한다. 역사는 당에 의해 재조작되는 과거다.
즉, 그의 표현대로 과거의 사건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기록된 자료와 인간의 기억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며, 그 과거는 기록된 자료와 기억이 뭉친 것이다.

당은 인민들에게서 자유와 평등과 같은 관념을 삭제하고,
철저히 안정적인 당의 체계에 복종케 하기 위해서 끊임없는 조작, 선전, 감시, 고문을 자행한다.
있지도 않은 대외전쟁을 존재하는 것처럼 선전하여 즉흥적인 애국심을 만들어내고,
Big Brother의 대형 플랑이 온 거리, 집집마다 나붙어 있으며,
당원이 있는 곳 어디나 텔레스크린이나 마이크로폰이 숨겨져 있다.
원칙적으로 당원은 여가가 없고 침대에 들 때 외에는 혼자 있어서는 안된다.
일하고 먹고 잘 때 외에는 단체오락이 끼어야 하며-
고독한 취향을 보이는 것은, 하다못해 혼자 걷는 일조차 위험하다.

윈스턴은 생각한다.
자유란 둘 더하기 둘은 넷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 자유이다.
그 자유가 허용된다면 그 밖의 모든 것은 이에 따르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나는 옳다! 그들이 틀렸고 내가 옳다.
명백한 것, 순결한 것, 그리고 진실한 것은 지켜져야 한다.
자명한 것은 자명하다.

그가 줄리아를 만난 건, 운명적이었다.
줄리아가 "당신을 사랑합니다." 라고 고백한 순간 그는 살아있고 싶은 욕망이 솟았다.
그렇지만, 그는 자칫하면 그녀를 잃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어쩌면 이렇게 어물쩡 시간이 지나는 사이 그녀가 마음이 변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는 참을 수 없이 조급해졌고, 불안해졌다.

그녀를 만났고, 그는 이것이 죽음을 앞당기는 일이라고 생각했지만 충분히 견딜 만한 것이었다.
어떤 사람은 죽음을 용케 연기하기도 하지만, 또 어떤 사람은 앞당기기도 하는 것이었다.
결말이 시작에 포함되어 있대도, 윈스턴은 줄리아를 사랑했다.

사상경찰이 윈스턴과 줄리아를 끌고 간 애정성 어딘가에서, 갓을 쓴 등이 켜진 막힌 방에서,
줄리아는 없고 윈스턴만 있는 그 방에서, 오브라이언은 그를 내려다보며 말했다.

"자네가 인간이라면, 자네는 마지막 인간이야."

윈스턴은 그들을 증오하면서 죽는 것이야말로 곧 자유라고 생각했다.
불합리하고 소모적인 영사(영국사회주의)의 체계를 증오하면서 죽어가는 것.
그것만이 당의 체제에 저항할 수 있는 길이었으며, 마땅히 해야 할 사명처럼 느껴졌다.

그러나 결국 윈스턴은 허무주의에 빠져드는 것이다.
어쨌거나 그는 아직 살아있고, 그가 죽고 죽지 않은 전후로 아무것도 변하지 않을 것이다.
생각해보면, 당의 체제는 지극히 합리적인 것이다.
무엇 때문에 당을, Big Brother를 증오하며 죽어간단 말인가.

그렇다.
모든 일은 그저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일일 뿐이다.
오세아니아 세계 밖에서 국제전이 벌어지고 있다면, 전쟁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누군가 배신하고, 당의 적이라 하면 그는 응당 그럴만한 사람인 것이다.

그리하여 종국에는 사랑하면서 죽어가는 것.
그리하여 결국은 체제에 순응하는 비극.

2부의 로맨틱하기까지 한 사랑도 결국 이 비극적 결말을 위한 도구였을 뿐이다.
가장 사랑하는 그 무엇도 변해가는 잔학한 죽음의 평화.



##

이 책은 조금 어렵다.
George Orwell의 원작 자체도 어렵게 쓰여졌지만,
번역도 가볍게 읽기에는 다소 난해한 부분이 있다.
- 하여 생각컨대, 이 책(번역서)이 68년에 초판이 나오고 93년/99년/06년에 각각 출판이 되었는데,
첫 번역 이후로 전면적인 개정이 없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

이 책을 정치철학적으로 평가할 때,
단순히 생각하면 전체주의에 대한 악랄한 비판 정도로 생각할 수도 있겠는데,
실질적으로는 오늘날 우리 민주주의 사회에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것들이 많다.

그리고 역시 비극적 결말이라는 점이 충격적이랄 수 있는데,
이 역시도 그의 냉소를 느낄 수 있게 해 주는 대목으로 보여진다.

부록으로 첨부되는 '신어의 원리'는 전형적인 영어식 사고여서 우리로서는 더 많은 생각을 하게 하지만,
그의 사고가 얼마나 확장되어 있는가를 알 수 있어 감탄하게 한 대목이었다.

1984라는 숫자는 그가 집필을 끝낸 해인 1948년의 뒷자리 두 수를 바꾼 것이라는 해석이 분분하지만,
개인적으로는, 평자가 태어난 해라는 해석이 가장 정확하다고 보는 편이다. ^^
Aladdin  |  2007/01/28 20:19
인생의 turning point 라면 지금이다
[일기] Diary  |  2007/01/28 12:24

我愛你。
再见。

[문화] Contents  |  2007/01/26 22:14


[문화] Contents  |  2007/01/25 22:56

그 많던 여학생들은 어디로 갔는가


학창 시절 공부도 잘하고
특별 활동에도 뛰어나던 그녀
여학교를 졸업하고 대학 입시에도 무난히
합격했는데 지금은 어디로 갔는가

감자국을 끓이고 있을까
사골을 넣고 세 시간 동안 가스불 앞에서
더운 김을 쏘이며 감자국을 끓여
퇴근한 남편이 그 감자국을 15분 동안 맛있게
먹어치우는 것을 행복하게 바라보고 있을까
설거지를 끝내고 아이들 숙제를 봐주고 있을까
아니면 아직도 입사 원서를 들고
추운 거리를 헤매고 있을까
당 후보를 뽑는 체육관에서
한복을 입고 리본을 달아주고 있을까
꽃다발 증정을 하고 있을까
다행히 취직해 큰 사무실 한켠에
의자를 두고 친절하게 전화를 받고

가끔 찻잔을 나르겠지
의사 부인 교수 부인 간호원도 됐을 거야
문화 센터에서 노래를 배우고 있을지도 몰라
그리고는 남편이 귀가하기 전
허겁지겁 집으로 돌아갈지도

그 많던 여학생들은 어디로 갔을까
저 높은 빌딩의 숲, 국회의원도 장관도 의사도
교수도 사업가도 회사원도 되지 못하고
개밥의 도토리처럼 이리저리 밀쳐져서
아직도 생것으로 굴러다닐까
크고 넓은 세상에 끼지 못하고
부엌과 안방에 갇혀 있을까
그 많던 여학생들은 어디로 갔는가

- 문정희 -

[타인] yours  |  2007/01/24 14:22

- 세미나 교재 -

[문화] Contents  |  2007/01/18 16:48

비상등을 올린 지프
정렬과 이동을 반복하는 전경의 대열
긴 출근행렬 속에 드문드문한 순찰차
지하철 출구 양 사이드로 방패를 딛고 서 있는 전경들
사거리 네 방향에 끝도 안 보일만큼 줄지어 있는 전경버스
거뭇거뭇한 전경들 사이로 번쩍거리는 계급장을 단 경찰들

어젯밤에 깃대를 들고 망보던 시위대원
사거리에 오직 하나 뿐인 반FTA 현수막

벌써 3일째.

[일기] Diary  |  2007/01/17 12:19
한 번, 두 번..

이런 홑씨같은 시간들이 모여서
1개월, … 1년과 같은 단위로 진화했을 때
존재는 명확해지고, 감정은 시작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의미가 되는 것은
어떠한 시간의 진화.

단순한 시간의 집합을,
위대한 역사적 반응으로 안겨주는.
[일기] Diary  |  2007/01/14 21:14


[문화] Contents  |  2007/01/08 15:55

사람은 이성적이기에 앞서 인간적이어야 하고 인간적이라는 전제에서 합리적이어야 하는 것이다 그 말이 그 말이지만 두 번 얘기하는 것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일기] Diary  |  2007/01/05 16:40